-
반응형
ec2에서 mongodb를 설치하고 mongosh을 눌렀을 때 정상적으로 접속이 가능한 상태가 전제이고
MongoDB compass를 연결해보는 작업이다.우선 사용하고자 하는 DB로 바꿔준다.
show dbs
use test
db.getUsers()
db.createUser({ user: ‘testUser1`, pwd: ‘’password77, roles: [{role: 'readWrite', db: 'test'}]})
db에 접근할 user를 만들어주었다. 다시 한번 db.getUsers()를 통해 잘 만들어졌는지 체크한다.
db.getUsers() // -> 결과 { users: [ { _id: 'test.testUser1, userId: new UUID("bdsdwfad-adad-9999-fje0-dkfje3f4134”), user: ‘test’User1, db: 'test', roles: [ { role: 'readWrite', db: 'test' } ], mechanisms: [ 'SCRAM-SHA-1', 'SCRAM-SHA-256' ] } ], ok: 1 }
이제 MongoDB compass를 통해 EC2 mongodb에 연결하는 과정이다.
MongoDB compass를 켜고 Host칸에 localhost:27017을 적어준다.
// ec2에서 /etc/mongod.conf에 net: port: 27017로 되어있어야한다.그리고 Authentication에서 ec2 mongodb에서 작성한 ID, PW를 적어준다. (아래 SHA-256으로 선택해준다.)
이제 Proxy/SSH 항목으로 넘어가서
SSH Hostname에는 ec2 [퍼블릭 IPv4 주소]SSH Username과 Password에는 ec2에서 설정한 접속 계정정보를 적어준다.
이후 접속하면 잘 접속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, 이제 쿼리로 보지않고 GUI로 좀 더 효율적으로 DB를 관리할 수 있다.
반응형'Topic > 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MongoDB ] document의 field 이름 변경하는 방법 (0) 2023.08.19 [ NestJS ] mongoose에서 찾은 데이터 return 시 에러나는 이유 (0) 2023.08.05 [ MongoDB ] .sort() 에러 (ft. query) (0) 2023.03.11 [ Mongo DB ] buffering timed out after 10000ms" 에러 해결법 (0) 2023.03.04 [ MongoDB ] Document에서 중첩 객체의 속성을 제거하는 방법(객체 내 객체) (0) 2023.02.11